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두 다리의 경첩, 무릎

by 박머피 2024. 1. 22.
반응형

1. 무릎의 구조

-뼈와 연골
무릎 관절은 주로 세 개의 뼈로 이루어져 있습니다.

*대퇴골(허벅다리뼈): 무릎 관절의 상부를 형성하며 두 돌기(둥근 돌기)가 있습니다.
*경골(정강이뼈): 두 하반신 뼈 중 더 큰 하나로 대부분의 체중을 지지합니다. 허벅다리뼈와 결합하여 무릎 관절을 형성합니다.
*슬개골(무릎뚜껑뼈): 무릎 앞쪽에 위치한 작고 평평한 삼각형의 뼈로, 무릎을 보호하고 사지 이완을 향상시킵니다.
-관절연골
관절연골은 대퇴골, 경골 및 슬개골의 끝을 덮고 있는데, 매끄럽고 미끄러운 연골로 관절 내에서 마찰을 최소화하고 관절의 움직임을 원활하게 합니다.

-반월판 (Menisci):
무릎 관절에는 대퇴골과 골반골 사이에 위치한 두 개의 소파고가 있습니다. 이들은 충격을 흡수하고 하중을 분산시키며 관절의 안정성에 기여합니다. 또한 관절연골을 유지하고 영양을 공급하는 역할을 합니다.

-인대
인대는 뼈를 연결하여 무릎 관절을 안정화하는 강한 섬유 구조입니다.

*전십자인대 (ACL): 대퇴골이 정강이뼈 위에서 뒤로 미끄러지는 것을 방지하며 회전 안정성을 제공합니다.
*후십자인대 (PCL): 대퇴골이 정강이뼈로부터 뒤로 움직이는 것을 제한합니다.
*내측측인대 (MCL): 무릎 내측을 안정화하여 내측으로의 굽힘을 방지합니다.
*외측측인대 (LCL): 무릎 외측을 안정화하여 외측으로의 굽힘을 방지합니다.

-점막낭
점막낭은 각종 구조물 사이의 마찰을 줄이기 위해 사용되는 작은 액체로 채워진 낭입니다. 무릎에서는 건, 인대 및 뼈 사이에 위치합니다.

2. 무릎의 기능

-체중 지지
무릎 관절은 주요한 체중지지 관절로, 서있기, 걷기, 달리기와 같은 활동 중에 몸의 무게를 지지합니다. 무릎이 제공하는 정렬과 안정성은 곧바로 서있기와 같은 자세를 유지하는 데 중요합니다.

-굴곡 및 신전
무릎은 다리를 굽히고 펴는 굴곡 및 신전을 수행합니다. 이러한 움직임은 걷기, 달리기, 계단 오르내리기와 같은 일상적인 활동에서 중요합니다.

-회전
무릎은 주로 굴곡 및 신전으로 움직이지만 회전 운동도 제한적으로 수행할 수 있습니다. 특히 회전과 피봇이 포함된 활동에서 이 기능이 중요합니다.

-충격 흡수
반월판과 관절연골은 충격을 흡수하여 무릎의 관절 내에서 마찰을 최소화하고 충격을 흡수합니다.

-안정성
인대, 건 및 근육은 무릎 관절에 안정성을 제공합니다. 인대는 과도한 움직임을 방지하고 근육은 다양한 활동 중에 동적인 안정성을 제공합니다.

-골반 및 발목 관절과의 조화
무릎은 골반 및 발목 관절과 함께 움직여 부드럽고 효과적인 움직임을 보장합니다. 이러한 관절 간의 올바른 정렬과 움직임 패턴은 생체 역학적 효율성을 위해 중요합니다.

3. 흔한 무릎 문제 및 통증

-골관절염
골관절염은 관절연골의 점진적인 파괴를 특징으로 하는 퇴행성 관절질환입니다. 무릎을 포함한 체중지지 관절을 흔하게 영향을 미치며 통증, 강직 및 기능 저하를 초래할 수 있습니다. 근육 강화 운동은 무릎 관절을 지원하여 근육의 안정성을 향상시키고 연골에 가해지는 스트레스를 감소시킬 수 있습니다.

-전십자인대 손상
전십자인대 손상은 종종 갑작스런 멈춤, 방향 전환 또는 직접적인 충격으로 인한 부상으로 발생합니다. 무릎 주변 근육, 특히 사각근과 대퇴둔근의 강화 운동은 전십자인대에 지원을 제공하고 부상의 위험을 감소시킬 수 있습니다.

-슬개대퇴통증 증후군 (PFPS)
무릎 과사용 또는 무릎 주변 근육 불균형으로 인해 슬개골의 주행 방향 및 정렬에 변화를 가져오게 되고, 이로 인해 대퇴골 관골구 한 쪽 부위에 과도한 통증이나 불편감이 나타나게 됩니다. 

-반월판 손상
반월판 손상은 무릎을 갑작스럽게 비틀거나 직접적인 충격으로 인한 손상으로 발생합니다. 대퇴사두근 및 둔근과 같은 주변 근육의 강화는 무릎 관절을 안정화하고 올바른 생체 역학을 유지하는 데 도움이 될 수 있습니다.

-장경인대 증후군 (ITBS)
장경인대는 대퇴근막장근을 둘러싸며 측면 대퇴사두근과 연결되어 있습니다. 보통 장경인대 증후군은 무릎 측면에 통증이 있고 주로 회전력 조절과 많은 관련이 있다고 봅니다. 

반응형